게임 좋아하시나요? 출시가 되기 전부터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았던 게임이 있습니다. 바로 크래프톤 회사에서 만든 [배틀그라운드] 입니다. 나온지 꾀 지난 게임이지만 아직까지도 큰 사랑을 받고 있는 회사인데요. 크래프톤 회사는 2007년 3월 26일에 설립되었습니다. 주된 사업으로는 아시다시피 게임소프트웨어 개발 및 서비스를 메인으로 사업 진행 중이며 나아가 PC, 모바일, 콘솔게임을 제작하고 국내외 퍼블리싱 사업까지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크래프톤은 총 22개의 계열회사를 가지고 있으며 비상장된 계열사들이라 우리는 크래프톤 밖에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라이징윙스, 블루홀스튜디오, 드림모션, 레드사하라스튜디오, 비트윈어스 등 국내에 5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고, 해외 17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게임 유저들과 방송을 통해 사명을 알린 크래프톤은 2021년 8월 10일 코스피 시장에 신규 상장 되었습니다. 하지만 크래프톤 주가의 흐름은 많은 개인투자자들에게 아픔을 주고 있는데요. 오늘은 크래프톤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크래프톤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 [차트는 뉴스보다 빠르다]
배틀그라운드 게임으로 유명해진 크래프톤은 인기 방송 유퀴즈에도 개발 대표가 출연하면서 다시 한번 크래프톤의 이름을 알렸는데요. 이 시점은 크래프톤 주가가 코스피 시장에 상장되기 전이라 많은 사람들이 상장 직전 공모주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바로 크래프톤 주가 차트 분석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크래프톤 주가 차트 분석
솔직히 말해서 크래프톤 주가는 현재 처참합니다. 지금까지 주식 경력으로 주가의 흐름을 경험한 바로는 크래프톤 주가 1월달의 모습은 정말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아무리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고조되어 전 세계 증시가 폭락했다고 하더라도 크래프톤 주가는 단 한번의 반등도 없이 그냥 세력이 손 놓고 있다~ 라고 말을 하듯 그냥 흘러 내렸습니다. 그럴수도 있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 하실지도 모르겠지만 제가 왜 크래프톤 주가의 1월달 모습이 이해가 안가는지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문제를 삼는 것은 크래프톤의 시총입니다. 크래프톤 시총은 13조입니다. 하락을 시작하기 전 12월 말까지 크래프톤의 시가총액은 약 20조원의 초 거대 기업이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시가총액이 1조만 넘어도 꾀나 안정적인 회사라는 인식과 함께 주가 흐름에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게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크래프톤 주가는 어떤가요? 시가총액 20조를 무색하게 아무 의미 없는 하락 흐름을 보여줍니다. 아무리 상장된지 얼마 안된 기업이라 해도 회사측에서 전혀 주가를 관리하지 않고 있었다고 보여집니다. 심지어 시가총액은 크지만 분식회계 등 문제가 있는 주식들의 흐름도 이렇게 무책임하게 흘러내리게 두지는 않습니다.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이 흐름에 대해 사측에 불만을 내비췄습니다. 예수보호물량이 풀려서 이런거냐?라는 합리적인 의심도 하였지만 크래프톤 주가에 큰 변화는 없었습니다. 더 이상은 두고 볼 수 없었는지 크래프톤 대표가 책임경영을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겠다고 뉴스를 냈지만 하락한 크래프톤 주가는 코스피 지수의 흐름 따라 박스권만 만들 뿐 이렇다할만한 반등을 보여주지는 않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희망이 없는 것일까요?
저의 경험상 어떤 뉴스보다 차트가 훨씬 빠른 흐름을 보였습니다. 차트를 보고 투자 후 수익을 낸 후에 호재 뉴스가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경험으로 보았을때 아직까지는 크래프톤 주가 차트의 상승 모멘텀은 보이지 않습니다. 이대로 끝내버리기엔 분석을 위해 쏟은 시간이 아쉬워 조금 더 말씀 드려보겠습니다. 그나마 다행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 크래프톤 주가 차트에도 있습니다.
크래프톤 주가 차트를 보고 투자할 만한 타이밍을 잡기위해서는 크래프톤 주가가 다음과 같은 흐름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다행이라고 볼 수 있는 점은 1월 말 저점을 찍은 이후 박스권을 치고 있다는 부분입니다. 차트상 굉장히 탄탄한 지지 역할을 해주는 경우가 주가가 바닥권에서 하락을 멈추고 박스권을 치는 경우 입니다. 크래프톤 주가가 앞으로 상승을 하기 위한 모멘텀을 구축하기 위해서 1월 말부터 쭉 박스권으로 지지라인을 만들고 있을 경우 이 크래프톤 주가는 다시 관심종목에 들어와야 합니다. 그럼 언제가 지지라인을 구축한 박스권 흐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까요?
크래프톤 주가를 관리하는 세력이 2월 내내 만든 박스권의 저점을 크게 이탈하지 않고 박스권을 오래 치다가 330,000원 정도의 고점을 강한 거래량과 함께 돌파해주는 그림이 나와야 합니다. 한가지 더 팁을 드리면 현재 크래프톤 주가 종목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아쉽지만 박스권이 길면 길수록 더욱이 탄탄한 지지라인을 만들어 줍니다. 우리는 단지 박스권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보고 강하게 돌파하는 시점만 보면 됩니다. 지금까지 크래프톤 주가 전망 및 차트 분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다른 종목 주가 전망 글 보기 (클릭 시 해당 글로 이동)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