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T 뜻은 단어 그대로 해석하면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방송 등을 수신해 시청하기 위한 장치인 셋톱박스를 넘어서 TV라는 하나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고 PC나 태블릿 그리고 스마트폰, 게임기와 같이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실시방 방송 VOD (video on demand)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지금은 인터넷 속도가 예전보다 훨씬 빨라졌기 때문에 범용 인터넷망(Public internet)으로 영상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초기의 OTT의 의미를 넘어서 셋톱박스가 있건 없건 상관없이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는데요. 오늘은 OTT 뜻 및 OTT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OTT 뜻 및 서비스
OTT는 영어이며 OVER THE TOP의 약자입니다. 여기서 Top은 TV 셋톱 박스(set-top box)를 뜻합니다. 그리고 Over(오버)는 넘어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OTT 뜻 그대로 초기의 OTT 서비스는 셋톱박스를 통한 케이블 또는 위성 방송을 제공했었습니다.
OTT가 미치는 영향력
방송국이 아닌 다양한 OTT플랫폼에 콘텐츠를 판매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존에는 영화배급, 유통을 담당하는 영화배급사나 방송국에게 현저히 유리한 수익분배의 불공정을 감수하고 콘텐츠를 공급했습니다.
하지만 다양한 OTT 콘텐츠 판로가 개척되면서 콘텐츠 제작 관련자들의 몸값이 매우 높아졌다고 합니다. 심지어 제작 초기부터 OTT에서 투자부터 지원하여 매력적이고 강력한 오리지널 컨텐츠를 만들어 이용자수를 늘리는 효과를 보기도 했습니다.
OTT 서비스
OTT 서비스는 크게 기술 기업, 미디어 기업, 통신사가 만든 서비스로 나눌 수 있습니다. 구글의 유튜브 프리미엄, 애플의 애플 플러스, 아마존 프라임, 넷플릭스가 기술 기업이 만든 OTT 서비스입니다. 한국에선 카카오 TV나 왓챠, 삼성 TV 플러스, 쿠팡 플레이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미디어 기업이 만든 서비스는 디즈니 플러스, HBO 맥스, 파라마운트 플러스 등이 있습니다. 한국에선 웨이브(WAVVE)와 티빙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마지막으로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서비스로는 시즌(SEEZN)이나 유플러스 모바일 TV 같은 서비스가 있습니다.
여러 글로벌 OTT 서비스를 견제하기 위해서 2019년 SK텔레콤과 KBS, MBC, SBS 지상파 3사에서 상호양해각서(MOU)를 체결하여 푹(POOQ)과 옥수수(oksusu)를 합친 웨이브 (wavve)라는 새로운 통합 OTT 서비스를 만들었고, 케이블 TV 중 CJ ENM과 JTBC는 2020년 웨이브 (wavve)에 대항하기 위해 티빙 (TVING) 기반의 새로운 OTT 서비스를 런칭하기로 MOU를 체결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CJ ENM과 JTBC는 넷플릭스와 컨텐츠 유통계약을 체결하며, 디즈니와 웨이브를 견제하기 시작했습니다. 2020년 말에는 쿠팡도 OTT 서비스에 진출하며 쿠팡플레이를 런칭하였습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에서 OTT 서비스 순위는 넷플릭스가 1위, 웨이브 (wavve)와 티빙 (TVING)이 2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합니다. Apple TV 와 디즈니 플러스 역시 한국 서비스를 시작한 상태입니다.
OTT 서비스의 전망
인터넷이 상업적으로 보급된지 30년이 넘었지만 OTT 서비스는 비교적 새로운 사업입니다. 이는 미디어 시청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오고 있는 추세입니다. 과거 전통적인 미디어 시청은 TV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TV는 가구당 1대 혹은 2대가 보급된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아무리 가족수가 많아도 미디어 노출횟수는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기술이 발달하여 컴퓨터와 스마트폰, 태블릿이 보급되면서 이제는 가구당 1대가 아닌 사람 머리수마다 1대의 미디어 시청기기가 보급되고 있습니다.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언제 어느때나 원하는 미디어 시청이 가능합니다. 이는 미디어 시청시간의 폭발적인 증가를 뜻하며 소비자의 취향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마케팅 측면에서도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타겟 광고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보급이 북미와 유럽, 동아시아를 넘어 이제는 동남아시아와 인도, 아프리카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OTT 서비스 이용자는 더욱 더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연스럽게 이로 인한 수익은 물론 마케팅 수단으로 OTT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OTT 뜻 및 OTT 서비스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당신을 위한 글▼
댓글